여성곤지름
곤지름은 인유두종 바이러스(HPV)에 의해 생기는 사마귀의 일종으로 주로 손에 자주 생기는 사마기와는 달리 부스러지며 그 모양이 닭벼슬같이 뾰족하여 곤지름 혹은 성기 사마귀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곤지름은 1954년 한국동란에 참전 후 돌아온 미군들의 부인들에게서 특히 곤지름이 많이 생기면서 처음 등장했습니다. 이러한 환자의 남편들이 한국에서 혼외 관계를 했고, 이후 부인과 함께 곤지름이 관찰되었다고 합니다.
곤지름 원인
직접접촉이 아니여도 간접접촉으로도 전파가 가능한 것으로 밝혀져 있습니다. 곤지름이 있는 환자와 손과 같은 다른 접촉으로도 옮을 수 있으며, 정신병원이나 기숙사 같은 곳에서 집단으로 걸리기도 하며 구강으로도 감염이 될 수 있어 입에도 생길 수 있다고 합니다.
또한 곤지름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다중이용시설에서도 감염될 수 있다고 합니다. 실제로 그런 사례가 있었으며 단 한 번의 접촉으로도 감염될 가능성이 50%정도라고 합니다.
한편, 곤지름은 잠복기가 3~6개월로 잠복기가 지난 후에야 발병을 하기 시작합니다.
여성곤지름 증상
주로 외음부와 항문 주변, 자궁 입구에 크고 작은 여러개의 사마귀, 닭벼슬 모양 돌기가 생겨 생활에 불편함이 있다고 합니다. 곤지름은 모양이 정해져있어 외관상으로도 진단이 쉬우며, 초기에는 촉촉하고 투명한 붉은색의 수포 모양이 다발로 발생하는 사마귀 모양에서 크기가 커지면서 작은 버섯, 양배추, 작은 닭벼슬 모양처럼 변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때부터 여러 군데 생기고 그 크기도 다양해진다고 합니다. 또한, 병소 부위에 2차 세균 감염이 되면 냄새와 냉이 많아지며 통증이 느껴진다고 합니다.
곤지름 치료
외음부에 발생한 곤지름은 약을 발라서 치료가 가능하기 때문에 자라기 전에 치료를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곤지름은 넓은 범위로 침범을 하기 때문에 피부 손상 가능성이 많다고 합니다.
그 외에는 약물치료와 파괴치료가 있으며 만약 임신 중에 발병을 하게 되면 따로 치료 법이 존재합니다.
임신 중 치료법으로는 태아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포도필린, 인터페론 등 사용은 금하고 있습니다. 특히 포도필린은 태아에게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습니다. 그래서 만약 임신 중 곤지름이 커지거나 출혈 등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는 한 적극적인 치료는 하지 않고 청결과 건조를 시키고 있습니다. 만약 크기가 커질 경우 냉동 치료, 레이저 증발 치료와 같은 외과적인 방법을 하고 있습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트체리 부작용 복용법 (0) | 2020.08.09 |
---|---|
새싹보리 효능 (0) | 2020.08.08 |
새싹보리 키우는법 (0) | 2020.07.18 |
초당옥수수 먹는법 (0) | 2020.07.17 |
초당옥수수 보관 법 (0) | 2020.06.23 |